백중(百中)이라는 말은 '여러 가지 곡식의 씨앗을 다 갖추었다'는 의미의 백종(百種)의 뜻에서 유래(由來)된 것으 로, 민간에서는 백종이 되면 조상의 사당에 햇과일을 따서 천신 차례를 지냈으며 왕실에서는 종묘에 이른 베를 베 어 천신에게 드렸다고 합니다. 또한 호미 씻기 날이라 하여 7월 보름 경의 용(龍)날을 택하여 지주들이 머슴들에게 술과 음식으로 하루를 즐겁게 보내도록 했기에, 7월 백종을 머슴 생일이라고도 합니다. 백종날은 머슴이 하루 쉬 고 용돈까지 받으니, 자연히 장이 서게 되어 장꾼이 몰리고 씨름판, 농악 등이 벌어져 장터가 흥청거리게 되어서, 이것을 '백중장'이라 합니다. 이러한 풍습은 특히 중부 이남 지방에서 성행해 왔습니다.
불가에서는 백종이 보다 뜻 깊은 의미가 있습니다. 부처님의 제자인 목련이 지옥에 떨어진 어머니를 구한 <우란 분경(盂蘭盆經)>에 나오는 목련구모(木蓮求母)의 고사가 그것입니다. 목련의 집안은 본래 불심이 돈독한 집안이 었지만, 부친이 돌아 가신 이후에 목련의 어머니가 온갖 악덕을 저질러, 그의 어머니는 사후 지옥에 태어나게 되었 다고 합니다. 목련이 부처님의 제자가 된 후에 심안(心眼)으로 돌아가신 어머니를 살펴보니 지옥에서 고통을 받고 계신지라, 차마 그대로 있을 수 없어 부처님께 간청하여 어머니를 구해내었는데, 이것이 사찰에서 매년 행해지는 백중 영가 천도의 유래가 된 것입니다.
이 날은 돌아가신 조상님들을 위한 합동천도재가 있는 날입니다. 따라서 종무소에 먼저 행사 접수를 하실 적에, 각 가정의 영가에 대한 본관, 성명, 제사를 지내는 분과의 관계 등을 아시는 대로 적어 오셔야 합니다. 종무소에 이미 영가명을 입력해 두신 분들은 바 로 접수 하실 수 있습니다.
미리 접수를 해 놓으시면, 당일 날은 법당의 정진 행사에 참석하시기만 하면 됩니다.
자세한 문의는 본원 혹은 각
지원의 종무소로 하십시오. (안양본원 031-470-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