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원의 역사
- 지나온 발자취
- 선원의 연혁
- 선원의 현황
법회와 정진
- 법회안내
- 정진안내
- 문화강좌
선원일정
신행과 단체
- 신행회
- 합창단과 풍물패
- 부서 및 단체
한마음 도량
- 새도량 열린날
- 도량 둘러보기
- 그때 그시절
- 영탑공원
한마음 심볼
오시는 길
생애관
- 포토행장기
- 대행선사 그림행장기
갤러리
- 만남의 갤러리
- 불사의 갤러리
- 다르마 갤러리
- 일상의 갤러리
- 소품 갤러리
- 서산정 풍광
명상실
- 한마음법의 원리
- 한마음법의 수행
- 생활속의 활용
친견실
- 친견실 메신저
- 수행법의 요체
- 발없는 발로
- 일일 친견실
도서논문자료
- 반야심경칼럼
- 금강경칼럼
- 논문자료
- 법문집 소개
추모관
- 묘공당대행선사탑의 모든 것
- 대행선사 추모영상 모아보기
- 대행선사 추모집
- 기자가 본 다비식
- 포토갤러리
- 불교TV 중계영상 영결식
- 불교TV 중계영상 다비식
수행의 첫걸음
- 불자의 기본 교리
- 불자의 기본예절
- 초심자를 위한 법문
미디어 자료관
- 금주의 오디오법문
- 영상독송
- 한마음독송
- 영상선법가
- 선법가
- 음원 다운로드
한마음도서관
- 법문검색
- 한마음요전
- 법공양판
- 길을 묻는 이에게
ㄴ한마음요전
ㄴ신행요전
ㄴ허공을 걷는길
의식과 독송집
한마음저널
마음꽃
영상법문
연등축제
한마음뉘우스
콘서트홀
스페셜영상
한국의 명찰
공놀이
한마음과학원
저널카페
마음꽃카페
한마음시나리오
한마음선원신도회
한마음선법합창단
한마음선원청년회
한마음선원학생회
한마음선원은 불교음악에 많은 족적을 남기신 고 서창업선생님이 이끄는 합창단과 국악포교단이 협연하여, 1987년 호암아트홀에서 대행선사의 게송을 선법가로 만든 ‘선종관문 알아보세’, ‘한곳으로 나고드니’, ‘마음의 불씨’, ‘일체제불의 마음’ 등을 발표하는 것으로 세상에 선법가를 선보였습니다. 이후 선법가 보급을 위하여 한마음선원 부산지원에서는 불교TV와 함께 태국까지 날아가 선법가 뮤직비디오를 만들기도 했으며, 광주 대구 등의 지원에서는 합창제를 통해 선법가를 알렸으며, 중부경남지원에서는 산사합창제를 정기적으로 열기도 했습니다. 96년 대행선사의 서울 대법회에서는 한국음악의 거두 박범훈 선생님의 작곡 및 지휘로 국악관현악단과 합창단이 함께 한국음악 풍의 선법가 ‘정신발전의 길’을 발표하기도 했으며, 또한 본원과 여러 지원에서는 공연을 통해 여러 의미 있는 행사를 함께 가지기도 했습니다. 한마음선원 안양 본원에서는 2000년 ‘결식아동돕기 한마음어린이합창제’를 시작으로 2000년 세종문화회관에서 심장병 어린이돕기 한마음합창제 ‘님의 소식’, 2004년 간암환자돕기 한마음선원 합창제, 2006년 소년소녀 가장돕기 송년의 밤 ‘푸르게 살라’, 2011년 ‘한마음음악제, 2013년 ‘탄허대종사 탄신 100주년 기념합창제’ 등의 뜻 깊은 행사를 가졌으며, 지원에서는 1995년 대구지원송언합창단의 ‘음성공양의 밤’, 1996년 광주지원의 ‘불교음악제’, 1999년 광주지원의 ‘소년소녀가장돕기 광주어린이합창제’, 2002년 광주지원의 ‘어린이합창제’, 2003년 대구송언합창단의 ‘재해민돕기 수행선법가의 밤’, 2003년 부산지원의 ‘부산거사합창단발표회’, 2003년 제주지원의 ‘제주합창단 창단 베주년기념 독거노인돕기합창제’ 등 여러 행사가 세월을 스쳐 지나갔습니다. 근래에는 각 지원이 따로 합창제를 갖기보다는 세종문화회관을 빌어 본원과 국내지원, 해외지원이 모두 연합하여 한마음으로 합창제를 여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90년대나 2000년대 초에는 각 지원 별로 합창제가 활발하던 시절이었습니다. 지나간 세월을 그리는 이에게는 추억의 합창제 영상을, 젊은이들에게는 선원의 합창제 역사가 될 지난 영상들을 제공해 드리며, 선법가 합창제의 역사는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질 것입니다.
혼성합창단 ‘누가 하는가요’, ‘세번 죽어야 나를 보리라’
안양어린이합창단 합창과 수화와 율동
가수 인순이 공연
facebook으로 퍼가기
twitter으로 퍼가기
모바일 버전